책소개
현대과학의 발전과 역사적 의미를 토대로 과거의 과학을 들쳐봄으로써 현대과학의 위치와 역할을 올바로 이해하고, 과학의 발전사 흐름과 시대적 의의에 대한 과학사적 기초를 쌓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대과학만을 이해하려는 이공계 학생뿐만 아니라 인문사회학을 전공하는 학생들도 과학을 쉽게 이해하고, 과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이 책을 통해서 충분히 이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다. 과학 발전사와 그 가치를 재인식할 수 있는 역사와의 만남이 되기를 바란다.
목차
제1장 과학의 시작과 태동
1. 과학의 태동과 특징
1.1 고대 오리엔트의 과학
1.2 수 학
1.3 천문학
1.4 의 학
1.5 기 술
1.6 고대과학의 특징
제2장 그리스과학의 발전
1. 그리스의 과학
1.1 여러 학자와 학설
1.2 그리스의 과학
2. 물질의 문제
3. 수와 기하학의 세계
3.1 플라톤과 수학
3.2 기하학의 유클리드
3.3 아르키메데스의 역학
3.4 피타고라스학파
4.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관
5. 고대의 지동설
6. 그리스 천문학의 대성
7. 목적을 향한 생명(생물학)의 발달
8. 생기론적 생물학자 아리스토텔레스
9. 동물의 분류 및 진화
10. 신과 의학
11. 의학의 아버지인 히포크라테스
12. 헤로필로스와 에라시스트라토스(해부학의 발전)
13. 중세의학과 정치 참여 특권
제3장 로마의 발달과 과학
1. 로마의 과학
2. 로마의 실용과학
3. 로마의 백과사전들
4. 원자론의 부활
5. 천인상응과 점성술
6. 연금술의 시작
7. 교부와 과학
8. 창세기의 과학
9. 우주와 천사
10. 도교적 교훈(박물학)
제4장 인도과학의 발달
1. 인도의 과학
2. 인도의 원자설
3. 우주관
4. 수학 0의 발견
5. 의 학
제5장 아랍의 과학(역사의 교두보)
1. 아랍의 과학
2. 유산의 흡수
3. 수 학
4. 천문학
5. 지리학
6. 광 학
7. 연금술
8. 의 학
제6장 중국의 과학
1. 중국의 전통과학
2. 세 가지의 자연관
3. 춘추전국시대 이후의 자연관
4. 신유학과 격물론
5. 실용을 위한 수학
6. 천문과 역법
7. 의학과 본초
제7장 중세 과학의 발달
1. 중세의 과학
2. 기술의 혁신
3. 12세기의 르네상스
4. 대학의 등장
5. 실험정신의 싹틈
6. 아리스토텔레스 권위에 도전
7. 갈릴레오의 선구자들
제8장 과학혁명(17세기)의 태동
1. 과학혁명
2. 코페르니쿠스
3. 티코 브라헤
4. 케플러
5. 갈릴레이
6. 역학발달의 선구자들
7. 근대 역학의 탄생
8. 천문학과 역학의 종합-뉴턴
제9장 과학혁명 이후 발달사
1. 과학혁명의 흐름
2. 수 학
3. 광 학
4. 의학의 혁명(피는 순환한다)
5. 망원경과 현미경의 해부학 도입
6. 과학자와 학회
7. 과학방법과 기계적 우주관
제10장 과학과 이성(18세기)
1. 과학과 이성151
2. 박물학과 생물분류
3. 지질학
4. 수학과 역학
5. 천문학
제11장 근대 과학의 성립
1. 근대 과학의 성립
제12장 현대과학의 발달과 과학사적 의의
1. 현대 물리학과 과학사
1.1 핵물리학
1.2 방사선의 발견과 연구
1.3 현대판 연금술 핵이 변환되다
1.4 섬광계수기 방법의 발전
1.5 인공 원소 변환
1.6 양자역학과 핵물리학
2. 전기와 전자공학의 발달사
2.1 전기현상 발견의 역사
2.2 전류와 자기와의 관계
2.3 전자기 유도현상의 발견
2.4 전자기학의 완성
2.5 전자의 발견
2.6 전자의 운동
2.7 고체 내의 전자운동
2.8 전자회로
2.9 전자공학의 발달과 진공관
3. 레이저의 발달과 응용
3.1 레이저의 역사
3.2 레이저의 특성과 구성요소
3.3 레이저의 종류
3.4 레이저의 응용
4. 재료공학의 발달과 역사
4.1 재료공학의 역사
4.2 신소재의 종류
4.3 비금속 무기재료
5. 화학공업과 석유화학
5.1 화학공업의 발달사
5.2 석유화학공업의 발달사
5.3 나일론의 발달과 역사
6. 생물학의 역사적 발전
6.1 생물학 분야별 분류와 의미
6.2 라마르크의 용불용설
6.3 멘델의 법칙
6.4 생화학적 반응과 유전정보
6.5 DNA와 RNA
6.6 현대를 지탱하는 생명공학
7. 생체전기의 응용과 역사
7.1 생체전기현상의 계측
7.2 질량분석에 의한 생체고분자의 분석
7.3 DNA칩의 역사와 발달
8. 로봇공학의 발달사
8.1 로봇의 분류
8.2 로봇의 활용
9. 정보화 시대의 도래
9.1 정보화 시대의 특징
9.2 정보와 정보욕구의 증대
9.3 산업사회와 정보사회
9.4 정보화 시대의 공동체
10. 원자력의 발전과 역사
10.1 우리나라 원자력발전 기술의 도입과 발전사
10.2 원자력 에너지와 발전원리
10.3 원자폭탄과 핵폭탄의 발전사
10.4 수소폭탄
11. 우주공학의 발달과 과학사적 의미
11.1 우주과학의 역사
11.2 항공우주공학
11.3 인공위성의 발달과 역사
12. 정신분석학적 과학적 사고의 발달
12.1 프로이드 심리학
12.2 역동 심리학 창설
12.3 정신의학과 프로이드
12.4 프로이드의 성격적 견해
12.5 역동적 성격
12.6 성격의 발달
13. 한의학에서 본 면역학
14. 해부학의 발달(외과학)
14.1 외과학이란251
14.2 과거의 외과 역사(1842년 이전)
14.3 현대 외과학의 역사
14.4 21세기 외과학의 발달
14.5 외과 년표(Time Table of Modern Surgery)
15. 지질학의 발달
15.1 지구학의 정의
15.2 지구화학의 발달
제13장 한국의 과학 발전사와 오늘
1. 삼국시대 과학의 발전사
2. 고려시대 과학의 발전사
3. 조선시대 과학의 발전사
3.1 전 기
3.2 후 기
3.3 조선시대 이후
3.4 한국 과학사의 흐름
3.5 1945년 이전
3.6 1945년 이후
4. 현대 과학사적 발달사
4.1 1960년 이후
4.2 1980년대
4.3 1990년대
제14장 정책과 연구조직
1. 과학적 인식
1.1 과학의 힘
1.2 현대 과학의 특수성
1.3 과학기술이 유발하는 사회문제
1.4 20세기 과학과 공증(public)의 관계
1.5 미래 과학
1.6 정보화 정책
1.7 기술혁신 체계
1.8 정보유통의 개념과 정책적 제언
2. 과학의 제도화(독일)
2.1 독일의 화학공업과 전기공업
2.2 독일 제국과 현대 물리학의 출현
2.3 알트호프의 대학교육 개혁
2.4 과학 연구의 제도화
2.5 경쟁적 과학연구 풍토의 조성
2.6 연구소 설립
2.7 과학과 이데올로기
3. 자연인식
3.1 실 험
[부록] 과학사 연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