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여 년간 수많은 강연과 저술을 통해 도가철학과 인문학적 통찰을 역설해온 시대를 선도하는 철학자 최진석의 신간 『나 홀로 읽는 도덕경』은 노자 철학의 정수 『도덕경』의 새 독서법을 제시한다. 2500년이 넘도록 고전으로 살아 있는 『도덕경』이라는 지혜의 5천 자를, 원문과 번역문만 가지고 해설 없이 홀로 읽기가 그것이다. 이는 최진석이 강조해온, 자기 사유의 진정한 주인으로 서는 태도가 그대로 대입된 『도덕경』 읽기라 할 수 있다.
『나 홀로 읽는 도덕경』은 『도덕경』을 공부한다는 한 독자와 최진석의 만남으로 시작되었다. 그는 이 독자와 나눈 『도덕경』에 대한 수많은 질문과 대답들과 더불어 그간 많은 이들이 『도덕경』에 가졌던 궁금증들, 그가 스스로 중요하다고 여기는 『도덕경』의 핵심들을 모아, 이 내용을 나침반 삼아 누구나 ‘나 홀로 읽기’에 도전해볼 수 있도록 40문40답으로 정리했다. 『나 홀로 읽는 도덕경』의 1부 ‘묻고 답하는 도덕경’은 이 40문40답에 해당되고, 2부 ‘나 홀로 읽는 도덕경’은 어떤 해설도 없이 『도덕경』 원문 전체와 최진석의 번역문만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40문40답은 입말로 정리되어 최진석과 직접 대화하는 듯한 독서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덕경』을 구성하는 총 81장은 경전 구절이라기보다 여든한 편의 시처럼 읽힐 수 있도록 제목을 달았다.
『나 홀로 읽는 도덕경』은 『도덕경』이라는 지혜의 숲을 누구나 혼자서 더 쉽고 자유롭게 거닐 수 있게 도울 것이다. 목차를 따라 1부에 놓인 40문40답을 먼저 읽고서 2부에 놓인 『도덕경』으로 들어가도 되지만, 용감하게 『도덕경』을 먼저 읽고서 40문40답의 대화의 장으로 나와도 좋다. 경전 읽기를 어려워하던 이들에게는 『도덕경』에 대한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해줄 것이며, 이미 노자 철학에 익숙한 이들에게는 『도덕경』을 보다 창의적이고 도전적으로 읽어볼 기회를 열어줄 것이다. 어떤 길로 어떤 걸음으로 가는 독서이든 독서의 주인은 독자 자신이다. 『나 홀로 읽는 도덕경』은 노자의 『도덕경』이 이런 주체적인 독서를 통해 보다 빛나는 지혜의 고전이 된다는 것을 경험하게 할 것이다.
아무리 높은 평가를 받는 고전이라도 숭배의 대상이 될 필요는 없습니다. 숭배하지 않기 힘들겠지만, 어떻게 해서든 자신을 키우는 연료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고전은 소장하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소비하는 것이 낫습니다. 소장자보다는 소비자가 더 주체적이고 독립적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이것을 ‘홀로 읽기’라고 해보죠. 이제 친절한 안내와 도움 없이 홀로 읽는 일에 도전해볼 필요가 있습니다._「들어가는 말」에서
저자소개
서강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사단법인 ‘새말새몸짓’ 이사장, ‘새말새몸짓’ 기본학교 교장이다. 건명원(建明苑) 초대 원장을 지냈다. 1959년,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도 곁의 작은 섬 장병도에서 태어나 함평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 석사를 마치고 베이징대학교에서 당나라 초기 장자 해석을 연구한 『성현영의 ‘장자소’ 연구(成玄英的‘莊子疏’硏究)』(巴蜀書社, 2010)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도가(道家) 철학자인 그는 원래 서양철학을 공부하려고 독일 유학을 계획했다. 하지만 대학원에서 독일철학을 공부할 때는 미간을 찌푸리고 신경을 곤두세우며 책을 읽곤 했는데 우연히 책꽂이에서 발견한 장자를 읽으면서 재미에 푹 빠져 편안하게 즐겼다. 그래서 ‘공부를 하려면 재미있고 좋아하는 것을 해야지’란 생각으로 동양철학으로 바꿨다. 게다가 유가(儒家)보다는 도가(道家) 책을 읽을 때 더 영감이 떠오르고 짜릿짜릿했다. 저자가 노장 철학을 평생의 업으로 삼은 이유다. 저자는 우리에게 자기 삶의 주인으로서 주체적이고 욕망에 집중하며 살라고 권한다. 개인의 행복과 국가의 미래가 주체적이고 욕망하는 개인에게 달려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지은 책으로는 『최진석의 대한민국 읽기(2021)』 『나 홀로 읽는 도덕경(2021)』 『탁월한 사유의 시선(2018)』 『경계에 흐르다(2017)』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2015)』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2001)』 등이 있고, 『장자철학(2021)』 『노장신론(1997)』 등을 해설하고 우리말로 옮겼다.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은 『聞老子之聲, 聽道德經解』(齊魯書社, 2013)으로 중국에서 번역 출판되었다.
목차
들어가는 말 91부 묻고 답하는 도덕경도덕경을 읽기 전에노자는 누구이고 도덕경은 어떤 책입니까?노자가 살았던 춘추전국시대는 어떤 시대입니까? 동양철학은 노자 이전에 어떠했습니까? 사상과 철학은 어떻게 다릅니까? 도덕경 판본이 여럿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노자와 공자의 사상은 어떻게 다릅니까? 노자와 공자는 인간을 어떻게 바라봤습니까? 노자의 표현 방식은 어떻습니까? 노자 사상과 법가 사상의 관계는 어떻습니까? 도경과 덕경의 특징은 각각 무엇입니까? 덕이 등장한 의미는 무엇입니까? 도덕경 속으로이름 붙이는 것을 부정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노자의 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노자의 관계론적 사유를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노자에게 자연은 무엇입니까? 노자 사상에서 여성성이란 무엇입니까? 노자 사상에서 물은 어떤 특성을 갖습니까? 눈이 아니라 배를 위하는 게 무엇입니까? 노자에게 몸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시와 견, 청과 문은 어떻게 다릅니까? 손님은 무엇을 의미합니니까? 명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진정한 앎을 어떻게 찾아가야 합니까? 구부러짐이 자연을 따르는 것입니까? 선과 악 같은 대립항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항무욕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뺏고 싶으면 주어야 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입니까? 국가의 통치자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하라는 의미가 무엇입니까? 대기만성과 대기면성은 어떻게 다릅니까? 무위와 갓난아기 상태는 어떻게 연결될까요? 백성들을 우직하도록 한다는 게 무슨 의미입니까? 행적이 아니라 계약서를 따진다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나라를 작게 하라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도덕경의 현재와 미래현대 사회에서 도덕경은 어떤 길잡이가 될 수 있을까요? 노자의 철학이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할 대안이 될까요? 노자 사상의 해체주의적 면모는 어떻습니까? 그동안 노자를 계속 이야기해온 이유가 무엇입니까? 이 시대의 젊은이는 어떤 길을 찾아야 할까요? 우리 시대의 철학과 문학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요? 2부 나 홀로 읽는 도덕경제1장 온갖 것들의 문제2장 서로 살게 해주는제3장 무위의 다스림 제4장 비어 있으나 끝이 없는제5장 풀무와 같은 제6장 미묘한 모성 제7장 장생의 까닭 제8장 물의 덕 제9장 물러날 순간 제10장 무지의 태도 제11장 무의 기능 제12장 눈을 위하지 않는다 제13장 내 몸과 같이제14장 아무것도 없는 모습 제15장 마치 손님처럼 제16장 오래가는 길 제17장 백성들과 통치자 제18장 대도가 망가지면 제19장 이상을 끊으면 제20장 홀로 우매한 제21장 황하고도 홀하다 제22장 구부리면 온전해지고 제23장 자연스러운 것 제24장 자신을 드러내면 제25장 소리도 모양도 없이제26장 중후하고 안정된 것제27장 스승과 거울 제28장 되돌아가다 제29장 뜻대로 제30장 거기서 멈추기 제31장 전쟁과 병기 제32장 항상 이름이 없는 제33장 자신을 아는 자 제34장 대도의 넓음 제35장 태평한 세상의 도 제36장 부드럽고 약한 것 제37장 욕망 없는 고요 제38장 버리고 취하는 것 제39장 하나를 얻어서 제40장 유와 무 제41장 감춰져 드러난 제42장 음을 진 채 양을제43장 무위의 유익제44장 어느 것이 중요한가 제45장 잘 이뤄진 것은 제46장 만족을 앎 제47장 보지 않고도 제48장 덜고 또 덜어내고 제49장 성인의 마음 제50장 사는 길과 죽는 길 제51장 도와 덕 제52장 이 세계의 진상 제53장 대도와 비탈길 제54장 잘 심어진 것 제55장 조화를 알면 제56장 아는 자는 제57장 나라를 다스리는 법 제58장 정해진 것은 제59장 오로지 아끼다 제60장 작은 생선 굽듯 제61장 자신을 낮추기 제62장 만물이 의지하는 것 제63장 어려운 일과 쉬운 일 제64장 잃지 않는 법 제65장 지혜와 우직 제66장 위에 서고 싶다면 제67장 위대한 보물 제68장 싸우지 않는 덕 제69장 적이 없다는 것 제70장 이해하지 못하는구나 제71장 모르는 사람의 병 제72장 힘들게 하지 않으면 제73장 용기와 망설임 제74장 죽음을 관장하는 것 제75장 위에서 유위를 행하면 제76장 강한 것과 유약한 것 제77장 자연의 도와 인간의 도 제78장 정면으로 하는 말 제79장 계약서와 행적 제80장 나라를 작게 하면 제81장 모두 베풀어도 갖게 되는